교량표지
이번 시간에는 교량표지 시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박이 통항하는 교량에는 교량시설을 보호하고 선박의 안전한 통항을 위하여 교량표지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교량표지는 항로표지 기능 및 규격에 관한 기준과 국제항로표지협회의 교량표지에 관한 권고(O-113)에 따릅니다.
교량표지는 교량을 통항하는 선박이 가항수역으로 안전하게 항해하도록 설치하는 시설로 최대 통항선박의 흘수와 높이, 선폭을 고려하여 가항수역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교량 아래 가항수역의 중앙과 교량 양측 끝단 교각의 존재를 국제기준에 따른 형상물과 등화로서 표시합니다. 교가을 표시하는 교각등, Light Pipe, 전파표지(레이콘) 등은 해상여건과 통항 선박의 운항행태를 고려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교량표지의 설치 기준입니다.
1. 교량표지는 야간표지(교량등)와 주간표지(교량표)로 구분합니다.
2. 야간표지(교량등)는 좌측단등, 우측단등, 중앙등, 교각등, 경간등으로 세분합니다.
3. 주간표지(교량표)는 좌측단표, 우측단표, 중앙표로 세분합니다.
4. 교량 아래의 가항수역한계, 항로의 중앙, 교갹(충격방지 구조물 포함)의 존재 표시는 IALA 해상부표식 및 IALA 교량표지 권고 기준에 따르도록 합니다.
5. 교량표지의 좌현 및 우현표시는 IALA 해상부표식에 따릅니다.
6. 교량등의 명칭은 해당 교량의 공칭명칭을 부여합니다.
7. 교량등의 번호는 수원을 향하여 좌측 앞단의 P, L, C, R, P등은 1번부터 홀수로 하고 뒷단 등(燈)은 2번부터 짝수로 하여 수원방향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로 번호를 부여합니다.
8. 교량등이나 교량표는 최고고조면(홍수수위) 보다 상단에 위치하여야 합니다.
9. 교량등의 설치는 관리(점검정비)가 편리하도록 계획하여야 합니다.
10. 가항수로 결정시 항해가능한 선박의 마스트 높이와 교량 밑의 수심 및 일방통항 또는 교행항로인지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11. 야간이나 안개 시에 선박안전을 위하여 RACON이나 음향표지 장치를 병설할 수 있습니다.
특징으로 교량등의 광도는 항해자가 교량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소요거리에서 시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홍색 및 녹생등은 IALA 해상부표식 기준에 따르며, 동기점멸을 하는 경우 시인성이 증가됩니다. 중앙등(가장 최적 통항지점)은 백색 섬광등화 또는 경간 밑에 안전수역표지의 특성을 나타내는 등화로 나타냅니다.
통항 최적지점 결정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교량 통항 최대 선박의 선폭 및 최대 높이
② 교량 아래의 수심, 특히 일정하지 않은 교량 아래의 수심
③ 교량의 교각과 다른 구조물의 보호
④ 한쪽방향 통항 또는 양방향 통항의 필요성 등 해상교통 형태
⑤ 조석 간만의 차 및 유속
다음은 표준설치 방식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참조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교량표지 시설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교량에 이러한 시설들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새삼 알게되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음에 실제로 한번 찾아서 확인해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아닐까 합니다. 저도 꼭 찾아가 볼 계획입니다. ~이상입니다~!!
'항만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뚝식 방파제 (0) | 2020.07.12 |
---|---|
연안보전시설의 종류와 이해 (0) | 2020.07.11 |
해저파이프라인 노선계획 (0) | 2020.07.11 |
부잔교 시설 (0) | 2020.07.10 |
항로표지시설의 종류와 설치요건 (0) | 2020.07.07 |
선박의 안전 항행을 위한 항로 계획 (0) | 2020.07.06 |
갑문시설의 계획 / 용어 / 설치위치 (0) | 2020.07.05 |
호안의 조사 및 계획 (0) | 2020.07.04 |